전체 글32 벤치마크 지수란 무엇이고 대표적인 벤치마크지수는? 벤치마크(Benchmark)의 사전적 의미는 `비교평가 대상`으로 전략, 건설, 컴퓨터 등 여러 부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입니다. 특히 컴퓨터에서 cpu 벤치마크지수가 유명한데, CPU 벤치마크 확인하는 사이트는 PassMark Software가 가장 유명합니다.(https://www.cpubenchmark.net/) cpu 벤치마크지수 활용법은 나중에 알아보기로 하고, 재무금융에서는 투자 수익률을 평가할 때 벤치마크지수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즉 벤치마크란 성과평가 기준이 되는 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투자 수익률이 벤치마크보다 높으면 초과 수익률이 발생해 성공적인 투자를 실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벤치마크는 투자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리 선택되어야 하는데, 주식에 투자할 때는 모든 주식을.. 2019. 10. 21. 국제회계기준 IFRS란? 국제회계기준(IFRS :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이란 기업의 회계 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제정한 `단일 글로벌 회계기준`입니다. 현재 EU, 호주 등 전 세계 100여 국가에서 이를 의무 적용 또는 허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외국기업에 대해서는 2008년부터 미국 회계기준(US GAAP)과의 조정이 필요 없는 IFRS 보고를 허용했으며 자국 기업에 대해서는 2012년부터 2년간 IFRS와 GAAP의 이중보고 기간을 거친 후 2014년부터 IFRS를 통한 보고를 의무화했습니다. HTS나 전자공시 다트 등에서 기업의 재무제표를 확인해 볼 때, '연결재무제표'라는 말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국제회계.. 2019. 10. 21. 통화안정증권과 재정증권의 차이점(feat. 통안증권) 안녕하십니까 행복한개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통화안정증권과 재정증권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화안정증권은 우리나라 채권시장에서 국채 다음으로 중요한 채권이며 그 잔액 비중도 일반적으로 국채의 절반수준에 달합니다. 통화안정증권을 줄여 통안증권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통안증권은 한국은행이 통화성 부채 총액인 본원통화 조절을 통해 통화가치에 안정을 기할 목적으로 발행한 채권으로, 한국은행은 통안증권 발행을 통해 취득 자산증가로 시중 유동성이 증가해 이를 억제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발행합니다. 조금 쉽게 이야기한다면 통화안정증권은 한국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금융기관이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증권으로, 단기증권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고도 성장기에는 과도한 수출금융 공.. 2019. 10. 19. 에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이고 손석희는 왜? 안녕하십니까 행복한개미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에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이고, 왜 JTBC 사장 손석희가 연관 검색에 올라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그플레이션 이란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로 농산물 가격이 치솟으면서 일반 물가 수준이 전반적으로 크게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 밀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다면, 밀 사료로 키우는 가축의 사육비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결국 육류와 버터, 우유 등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결국에는 밀로 만드는 빵이나 과자, 식당 음식 가격까지 올라가 전체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일컬어 에그플레이션이라고 지칭합니다. 실제 국제 곡물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 국내 식품업체들.. 2019. 10. 19.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